유즙분비호르몬 과잉분비
- 가장 흔한 뇌하수체호르몬 과다증 1) 원인 - 프로락틴을 분비하는 뇌하수체 선종 - 생리적 원인 : 임신, 수유, 수면, 스트레스 2) 임상증상 - 여성 : 무월경, 유즙분비 과다, 불임증, 성욕감퇴, 질 건조증, 골밀도 감소 - 폐경 후 여성 : 두통이나 시야장애 - 남성 : 성선기능저하증, 성욕감퇴, 발기불능, 불임, 여성형 유방, 유루증 3) 진단 - 혈중 유즙분비호르몬 측정 : 취침 전후 가장 많이 분비되어 오전 4~6시경 혈액 내 수치가 가장 높음 아침 공복 시 잠에서 깨어난 후 적어도 1시간 후에 채취, 2번 이상의 혈액채취 필요 - 고프로락틴혈증이 나타나면 이차적 원인 확인을 위해 임신검사, 신기능 및 간기능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등 시행 4) 치료 및 간호 (1) 약물요법 - 도파민 ..
2023. 4. 12.
뇌하수체 선종
- 뇌하수체에 발생하는 모든 양성종양 - 뇌하수체호르몬 과잉분비 또는 뇌하수체 기능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 - 20~50세 성인에게 주로 발생, 증식속도 느리고 전이는 드물게 발생 1) 종류 및 임상증상 (1) 비기능성 뇌하수체선종 - 종양이 자라면서 뇌하수체 압박 -> 뇌하수체 기능 저하 증상 - 제 3,4,5,6번 뇌신경의 압박으로 인한 증상 발생 - 증상 : 세포파괴, 반맹증(시신경교차 압박 시), 안구운동 마비, 두통유발, 요붕증(시상하부 압박 시),), 뇌압상승, 수두증(제3뇌실의 뇌척수액 순환방해) (2) 기능성 뇌하수체선종 - 뇌하수체 전엽호르몬 과다분비 - 증상 : 유즙분비 증가(프로락틴), 거인증, 말단비대증(성장호르몬), 쿠싱병(ACTH), 갑상샘 기능항진증(TSH), 성기능장애(FSH,..
2023.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