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 : 요검사(urinalysis)
1. 검사목적 소변을 검사함으로써 요로계의 이상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내분비/대사 질환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 2. 종류 물리적 성상 검사,요시험지봉 검사,화학적 검사,요침사 검사 3. 검사방법 - 아침 첫 소변이 농축이 잘 되어 있어 이상적이다.소변을 볼 때 첫30mL정도는 버리고 중간뇨를 깨끗하고 건조된 용기에 받는다. - 24시간 소변 채취 시 채취 시작 시점에 우선 소변을 버리고 그 이후로24시간 동안 나오는 소변을 모두 모은다. 4. 결과 1)색깔 및 혼탁도:정상 소변은 밝은 노란색이면서 혼탁하지 않고 맑다.요혼탁의 원인으로는 세균,농,유미,지방구,점액,염류의 석출 등이 있다. 2)냄새:비정상적인 요의 냄새는 단풍 당밀뇨병(단풍 당밀 냄새),페닐케톤뇨증(쥐오줌냄새),티로신혈증(부패한 냄새)등..
2023. 2. 23.
진단검사 : 간기능 검사(liver function test)
간은 생체에서 단백질 합성, 포도당 및 기타 탄수화물 대사, 핵산 대사, 지질 대사, 약물 대사 등을 담당하는 중요 장기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장기 중 하나이다. 하지만 여러 질환들에서 간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이러한 질환들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치료 방침 결정에 중요한 토대가 된다. 이러한 여러 질환들을 감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생화학적 검사들을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몇 검사 항목들을 묶어 간 기능 검사로 통칭한다. 주요 검사로는 AST, ALT, ALP, GGT, 빌리루빈(Bilirubin) 등이 있고, 이외에도 총 단백질, 알부민, 젖산탈수소효소(LDH), 암모니아 등의 항목을 더하여 검사하는 경우도 많다. *주의사항: 각각 항목의 수치보다는 시간에 따른 변화 양..
2023.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