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계간호8

당뇨병의 원인과 분류 1) 1형 당뇨병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전체 당뇨환자의 5~10% 차지 - 유전 또는 감염 등 자가면역질환으로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 - 베타세포 파괴 : 소아는 빠른 속도,, 성인은 느리게 진행 - 80% 이상 파괴되기 전까지 증상 없음, 인슐린 요구량 증가 시 처음 진단되는 경우 많음 구분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과거명칭 청소년 발현형 당뇨병 케톤증-경향성 당뇨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성인 발병형 당뇨병 케톤증-저하성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발병연령 흔히 30세 이하,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병 50대에 호발, 더 일찍 발병 가능 증상 갑자기 발병, 갈증, 허기, 소변량 증가, 체중 감소 보통증상 없음 : 갈증, 피로, 흐릿한 시야, 혈관계 또는 신경계 합병증 원인 바이러스감염 unknow.. 2023. 5. 1.
갈색세포종 (크롬친화세포종) 간호 - 카테콜라민을 분비하는 부신수질의 크롬친화세포의 종양 - 부신수질호르몬의 기능항진이 나타나는 고혈압성 내분비질환 - 대부분 양성 종양,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로 완치 가능 (1) 임상증상 - 고혈압 : 갈색세포종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 90% 이상 나타남 카테콜라민 위기 : 심부전, 폐부종, 부정맥, 두 개내출혈 - 기립성 저혈압 : 혈중 카테콜라민 증가로 인한 혈장 용적의 감소, 종양괴사에 의한 갑작스러운 카테콜라민 분비 중단 및 아드레날린 수용체 탈감작 등으로 기립성저혈압이 나타남 - 교감신경계 과다활동 : 과도한 발한, 두통, 심계항진, 불안감, 진전, 감각이상, 신경질, 오심, 구토, 쇠약감, 복통, 흉통, 시력장애, 손발의 냉감, 체중감소, 변비 등 - 혈당증가와 내당능 장애 (2) 진단 .. 2023. 4. 27.
부신수질호르몬 종류와 기능 - 부신수질 : 부신 중앙부의 실질조직, 혈관이 풍부한 조직에 불규칙한 모양의 세포가 배열 - 부신수질은 교감신경의 신경절세포가 모여 분비선을 이루고 있어 교감신경이 자극되면 호르몬이 분비 - 도파민,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생산, 분비 -> 카테콜라민 1) 합성, 분비 및 기능 (1) 합성과 분비 조절 - 티로신 -> 도파 -> 도파민 -> 노르에피네프린 (2) 종류와 기능 - 스트레스 상황에서 시상하부가 자극되어 교감신경을 통해 이루어짐 종류 위치 작용 알파수용체 a1 피하, 위장 혈관수축, 발한작용 a2 시냅스 전 카테콜라민 분비 억제 베타수용체 b1 심장 심박동수, 심근 수축력 증가 b2 신체 어느 부위나 기관지확장, 혈관확장 ① 에피네프린 - 교감신경말단에서 주로 분비되어 자극 전달 - 주된.. 2023. 4. 26.
부갑상선기능항진증 간호 - 부갑상선에서 부갑상선호르몬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비되는 질환 - 부갑상선 조직에 종양이 생기거나 비대해져 나타남 - 혈액과 소변의 칼슘 농도 상승, 소변의 인 농도 상승, 혈중 인 농도는 정상이거나 낮아짐 1) 원인 - 원발성 : 양선 선종(80~90%), 과다증식, 악성종양 - 속발성 : 만성신부전, 골형성 부전증, 다발성골수종, 골전이암 등 2) 병태생리 - PTH 증가에 따른 칼슘, 인산염, 골대사의 이상 : 파골세포의 활성 증가, 칼슘의 장흡수 증가, 신세뇨관 칼슘 재흡수 증가, 인산염 재흡수 감소 -> 고칼슘혈증, 저인산혈증 3) 임상증상 - 대부분 증상이 없고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 - 고칼슘혈증 위기 :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이 갑작스럽게 발생하거나 악화하여 심한 탈수 및 혼수와 같은 중증 .. 2023. 4. 24.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증후군 (SIADH) - 수분정체, 혈청 삼투압 감소, 저나르륨혈증 1) 원인 및 병태생리 - 가장 흔한 원인은 악성 종양에 의해 발생한 부종양증후군 - 머리부위 손상, 약물 - 혈중 삼투압 낮은데도 항이뇨호르몬 계속 분비 -> 수분축적, 혈량증가, 저나트륨혈증, BUN 감소 - 순환혈량이 10% 이상 증가 : 보상기전에 의해 저나트륨혈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변으로 나트륨 배설 - 순환혈량이 증가하지만 부종이 발생하지 않음 2) 임상증상 - 저나트륨혈증이 심하게 나타나거나 급성으로 나타나면 뇌부종 - 130mEq/L 이하인 경우 두통, 식욕감퇴, 오심 등 가벼운 증상 / 125mEq/L 이하인 경우 의식혼탁, 혼수, 불안감 등 신경이상 - 심한 경우 뇌부종과 폐부종 및 저산소증 4) 진단 - 저나트륨혈증과 소변삼투압이 10.. 2023. 4. 13.
요붕증 (DI) - 하루 3.5L 이상 소변을 보는 것(소변비중↓, 삼투압↓), 다갈 -> 다량의 희석된 소변 배뇨 - 뇌하수체기능저하로 인한 ADH 결핍 - 주로 10~20대에서 나타나며 진행이 빠름 1) 원인 - 뇌하수체 후엽이 형성되지 않았거나 비가역적인 파괴 - 중추성 요붕증 : 뇌하수체후엽의 ADH 분비 부적절 - 신성 요붕증 : 신장이상으로 ADH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 일차성 다음증 : 과다한 수분섭취로 인해 이차적으로 ADH 분비 억제 구갈성 다음증은 삼투조절 기전 장애로 역치가 변경되어 비정상적인 갈증이 일어남 심인성 다음증은 갈증이 없는데도 정신질환의 한 양상으로 다음증이 나타남 의인성 다음증은 의료기관 등에서 수분섭취를 권고했는데 그 권고량이 강한 경우 2)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 소변량.. 2023.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