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87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 심정지 대상자에게 사용하는 응급약물 1.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 1) 관상동맥 질환 심정지와 관련이 있는 가장 흔한 심장질환은 죽상경화성 관상동맥 질환이다. 심장기능이 정상이던 사람도 주요 관상동맥이 갑자기 폐쇄되면서 발생하는 심근허혈로 인해 수 분 내에 심실세동으로 사망할 수 있다. 또한 과거 심근경색증을 앓은 후 생긴 심근 손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심실부정맥으로 인해 심정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관상동맥의 선천성 기형, 관상동맥으로의 혈전 전색, 관상동맥염, 관상동맥박리, 관상동맥 연축 등 심근으로의 혈류를 기계적 또는 기능적으로 폐쇄하는 질환이 발생하면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2) 심근병증, 심부전 심근의 비후를 초래하는 판막질환, 심근질환, 고혈압환자에서도 부정맥이 발생하거나 심장박출량이 급격히 감소함으로써 .. 2024. 1. 31.
호스피스 가족간호 1. 가족에 대한 이해 - 호스피스완화간호에서는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접근 필요 - 가족문제에 대한 이해와 해결 없이 전인적인 돌봄이 어렵다 - 의사결정, 환자 돌봄에서 가족의 역할은 중요하다 1) 가족의 정의 - 전통적으로 혼인관계로 맺어진 남녀, 부부와 이들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 또는 혈연집단 - 결혼관계와 혈연관계로 맺어져 서로 상호작용하며 역할을 수행하고 공통된 문화를 창조, 유지, 계승해나가는 일차적 사회집단 -> 오늘날 가족의 정의와 범위는 기존의 개념보다 더 광범위하게 고려해야 한다. ex 대리가족, 가족으로서 기능하는 사람 2) 가족의 기능 - 신체적 기능 : 의식주제공, 자녀출산, 위험으로부터의 보호, 질병예방, 건강유지 - 정서적 기능 : 사랑, 격려,지지 등 정서적으로.. 2023. 11. 13.
죽음에 대한 정의 1) 죽음의 정의 - 세계보건기구(WHO)는 소생할 수 없는 삶의 영원한 종말이라고 정의함 ★ 죽음의 유형 생물학적 죽음 호흡정지, 심장정지, 동공확대를 죽음의 판단기준으로 하는 이른바 삼증후설에 근거하여, 인간의 장기 기능이 정지한 상태를 의미함 의학적 죽음 모든 체세포의 기능 상실로 생체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화학적, 물리적 또는 전기, 생리적 활동을 잃게 되어 인체의 세포가 불가역적인 상태로 변화한 것을 의미, 즉 뇌 또는 호흡이나 심장박동의 완전한 정지 사회적 죽음 생명은 유지되고 있지만 인간으로서의 기능을 전혀 할 수 없는 상태, 식물인간이 대표적인 예. 의학적 법적 죽음이 전제되어야 함 → 사회적 역할 사라짐 신학적 죽음 생명체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에서 인간의 생명이 신에게 귀의하는 것을.. 2023. 11. 7.
호스피스완화간호 윤리원칙과 규칙 1. 윤리원칙과 규칙 1) 윤리원칙 (1) 자율성 존중의 원칙 - 개인이 스스로 선택한 계획에 따라 행동과정을 결정하는 행동자유의 한 형태이다. - 개인의 독립성, 자립성 결정에서의 자주성 등을 의미하며 인격존중의 원리도 자율성에 속한다. ▷ 사전동의 - 자율성 존중의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음 - 환자로부터 치료에 대한 동의를 받기 위해서 모든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시행될 치료와 처치에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협조하는 법적이고 윤리적인 요구 조건을 말함 - 호스피스 환자는 입원 당시부터 호스피스 케어가 어떤 것인지 알고 사전동의하에 입원하게 된다. (2) 악행금지의 원칙 - 고의적으로 해를 가하는 것을 피하거나 해가 될 위험을 피하는 것 - 환자에게 이익이 되도록 어떤 인을 하게 되는 결정이 이차적으로.. 2023.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