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

죽음에 대한 정의

by Hlog 2023. 11. 7.
728x90
반응형

1) 죽음의 정의

- 세계보건기구(WHO)는 소생할 수 없는 삶의 영원한 종말이라고 정의함

죽음의 유형
생물학적 죽음 호흡정지, 심장정지, 동공확대를 죽음의 판단기준으로 하는 이른바 삼증후설에 근거하여, 인간의 장기 기능이 정지한 상태를 의미함
의학적 죽음 모든 체세포의 기능 상실로 생체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화학적, 물리적 또는 전기, 생리적 활동을 잃게 되어 인체의 세포가 불가역적인 상태로 변화한 것을 의미, 즉 뇌 또는 호흡이나 심장박동의 완전한 정지
사회적 죽음 생명은 유지되고 있지만 인간으로서의 기능을 전혀 할 수 없는 상태, 식물인간이 대표적인 예. 의학적 법적 죽음이 전제되어야 함 사회적 역할 사라짐
신학적 죽음 생명체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에서 인간의 생명이 신에게 귀의하는 것을 말함
철학적 정의로는 생각의 정지(사고의 정지)
법적 죽음 의사가 죽음을 편정한 후 이를 기초로 죽음을 법적으로 인정한 경우를 말함

 

2) 로버트 비에취의 죽음에 관한 정의

- 죽음에 대한 정의를 4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죽음을 상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있음

로버트 비에취의 죽음의 정의 4가지 차원
4가지 차원 죽음의 정의
공식적, 일반적 의문과 관련 생체액 유동기능의 불가역적 상실로 정의, 즉 죽음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심장, 혈액, 허파, 호흡을 관찰하여 죽음의 여부를 판별함
상실은 무엇인가라는 의문과 관련 신체로부터 영혼의 불가역적 상실로 정의, 즉 영혼의 유무로 죽음을 판별함. 많은 문화권에서 이것을 기준으로 죽음을 판별함
죽음의 영역과 관련
(조직의 어디를 확인할 것인가)
신체적 통합능력의 불가역적 상실로 정의, 인간을 통합적 존재로 인식하여 신체 내부 환경의 통합능력의 상실 여부를 죽음으로 정의함
죽음의 판별과 관련
(어떤 기술적 검사가 적용되어야 하는가)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의식적 증력의 불가역적 상실로 정의.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 생물학적 기능에 사회적 측면도 존재해야 함을 강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