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N4

기본간호 활력징후(호흡) 호흡 - 호흡 : 숨 쉬는 활동 - 흡기(inhalation, inspiration) 폐 속으로 공기를 받아들이는 과정 - 호기(exhalation, expiration) 폐에서 대기 중으로 공기를 내보내는 것 - 환기(ventilation) 폐의 안팎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 ■ 호흡기전과 조절 - 흡기동안 : 횡격막이 수축되어 팽팽해지고, 늑골들은 상외측 방향으로 움직이고, 흉골이 바깥쪽으로 움직여 흉곽이 확장되면 폐가 확장 - 호기동안 : 횡격막이 이완되고 늑골들이 아래쪽, 안쪽으로 움직여서 흉골이 안쪽으로 움직이므로 흉곽이 좁아지고 폐가 눌리게 됨 ■ 호흡사정 - 휴식상태에서 측정 - 호흡수(보통 1분간), 리듬, 질과 효율성 사정 * 호흡사정하기 전에 다음 사항들 고려 - 대상자의 정상적인 호흡양.. 2023. 6. 15.
기본간호 활력징후(맥박) 맥박 - 심장의 좌심실 수축에 의해 만들어지는 혈액의 파동 - 일회 박동량 혹은 매심실 수축 시마다 동맥으로 가는 혈액량을 의미 * 동맥 순응도 : 동맥의 수축과 확장 능력. 노화로 동맥의 팽창력이 상실되면 동맥으로 혈액을 펌프 하기 위해서는 더 큰 압력이 요구 *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 - 심장이 동맥 내로 혈액을 밀어내는 힘 - 일회 박동량과 심박동수를 곱한 것 ex) 1회 박동량이 65mL인 사람의 맥박수가 1분에 70회이면 이 사람의 심박출량은 65mL X 70회 = 4.55L/분 -> 안정상태에서 성인은 심장에서 분당 5L 가량의 혈액을 펌프질 ■ 맥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맥박률 : 분당 박동수(beats per minute, BPM)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연령 .. 2023. 6. 15.
기본간호 활력징후(체온) 체온 - 신체의 열생산과 열 소실의 균형 상태 반영 - 심부체온 : 복강, 골반강과 같은 신체의 심부조직 온도, 비교적 일정 - 표면체온 : 피부, 피하조직과 지방의 온도, 심부체온에 비해 환경에 따라 잘 변화 * 체내 열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기초대사율(BMR) : 나이가 많아지면 대사율은 감소, 나이가 어리면 기초대사율은 더 높음 - 근육활동 : 떨림과 같은 근육활동은 대사율을 증가 -> 열생산 증가 - Thyroxine 배출 : Thyroxine의 분비가 증가 -> 신체 전반의 세포대사율이 증가 - 에피네프린, 노에피네프린과 교감신경자극 스트레스 반응 : 이 호르몬들은 많은 신체조직에 세포 대사율을 즉각적 증가 - 발열 : 세포대사율을 증가, 체온을 더욱 높임 * 체내의 열소실 - 복사 : .. 2023. 5. 30.
기본간호학 간호과정 간호과정 -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하는 일련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제해결 과정 - 개별화된 간호를 계획하고 제공하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 - 목적 : 대상자의 건강상태, 실제적, 잠재적 건강관리 문제 도는 욕구를 파악한 후 만족시키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고 간호중재를 수행하는 것 - 대상 : 개인, 가족, 집단 간호과정의 단계 - 사정 - 진단 - 계획 - 수행 - 평가 - 각 단계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중복되며 연속적인 하위과정임 - 간호과정의 특징 : 체계적, 역동적, 대인관계적, 목표중심적, 보편적 적용 간호사정 - 간호과정의 첫 번째 단계 - 관련성 있고 중요한 대상자 정보의 체계적 수집, 확인하며 의사소통하는 과정 1) 자료의 사용 - 건강문제를 규명하고 간호계획을 세우고 .. 2023.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