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기6

유아기 동안 최적의 건강증진 1. 영양 ⦁ 생후 12∼18개월: 성장률이 느려져 열량, 단백질, 수분 요구량이 감소. 그러나 근육조직의 성장과 높은 활동수준으로 인하여 단백질(13 g/kg)과 열량 요구량은 높음 ⦁ 생리적 식욕부진(physiologic anorexia): 18개월 유아에서 영양요구량과 식욕이 감소하는 것으로 음식선호가 심하고 까다롭게 굴며, 어느 날은 많이 먹고 다음 날엔 거의 먹지 않기도 함 ⦁ 먹는 즐거움, 식사시간의 사회적 측면, 음식 거부방식의 통제 등 심리적 요소 인식하도록 함 ⦁ 식사예절, 유아용 식기(안전), 적당한 크기 음식, 색, 냄새 고려 1) 영양 상담 ⦁건전한 식습관: 즐거운 식사시간, 식사예절, 보상, 칭찬으로 음식을 사용하지 않음. ⦁음식 제공 방법: 크고 둥근 음식(핫도그, 포도, 완두콩.. 2023. 11. 18.
유아기 정상적인 성장발달과 관련된 문제에 대처 1) 배변훈련 ⦁18∼24개월: 항문, 요도괄약근의 수의적 조절 능력 발달 ⦁배변훈련 준비: 방광 준비, 장 준비, 인지 준비, 운동 준비, 심리적 준비, 옷, 유아용 변기 사용 등 ⦁소아 야뇨증: 일반적으로 여아는 만 4살까지, 남아는 만 5살까지 계속됨 ⦁아동은 배변훈련의 단계(말하고 옷 벗고 가서 소변본 뒤, 옷 입고 물 내리고 손을 씻는)를 완성하면서 성취감을 느끼게 됨 2) 형제간의 경쟁 ⦁형제간의 경쟁(sibling rivalry): 새로 태어난 동생에 대해 가지는 자연스러운 질투와 적의 혹은 가족 내에서 자신에게서 다른 아동 쪽으로 부모의 관심이 전환되어 생기는 형제들 간의 상호작용을 의미 ⦁첫째 아동인 경우 부모의 관심을 독차지하던 것을 상실하는 지위박탈(dethronement)을 경험 ⦁.. 2023. 11. 17.
유아기 사회적 발달 ⦁주요 발달과제: 중요한 사람, 특히 엄마에게서 자신을 구별하는 분화과정이 일어남; 분리(separation), 개체화(individuation) ⦁낯선 사람의 출현이 어머니와의 애착에 위협을 가하지 않고, 부모가 보이지 않더라도 존재한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배우면서 분리-개체화과정의 회복(rapprochement) 현상 나타남 ⦁이행적 대상(transitional object): 부모와 분리, 새로운 스트레스 발생, 피곤할 때, 이행적 대상은 아동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줌(예. 좋아하는 담요, 장난감) 1) 언어 ⦁말을 이해하는 능력 향상, 2세 습득 단어 수 300개 정도 ⦁1세: 한 단어로 된 문장 사용 (예: ‘위’란 단어- “나를 위로 올려 줘” 또는 “위를 봐” 등을 의미) ⦁2세: 같이 2∼3.. 2023. 11. 16.
유아기 인지 발달: 감각운동기와 전조작기(피아제) ⦁ 생후 12∼24개월: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hase)의 마지막 두 단계에 해당함 ⦁ 2세 이후: 전조작기(preoperational phase) 1) 3차 순환반응 ⦁감각운동기 5단계: 생후 13~18개월, 3차 순환반응기(tertiary circular reactions) ⦁새롭게 습득한 신체적 기술, 행동을 통합하여 새로운 상황에 통합된 지식 적용, 적극적으로 탐구 ⦁두 사건 간의 인과관계(causal relationship) 인식하나 그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지는 못함 ⦁사물의 분류가 초보적이기 때문에 사물의 외양으로 기능 구별 (예: 장난감통과 쓰레기통) ⦁공간감각(spatial relationships) 습득 ⦁대상 영속성(object permanence) 발달: 이동하여.. 2023.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