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101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 심정지 대상자에게 사용하는 응급약물 1.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 1) 관상동맥 질환 심정지와 관련이 있는 가장 흔한 심장질환은 죽상경화성 관상동맥 질환이다. 심장기능이 정상이던 사람도 주요 관상동맥이 갑자기 폐쇄되면서 발생하는 심근허혈로 인해 수 분 내에 심실세동으로 사망할 수 있다. 또한 과거 심근경색증을 앓은 후 생긴 심근 손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심실부정맥으로 인해 심정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관상동맥의 선천성 기형, 관상동맥으로의 혈전 전색, 관상동맥염, 관상동맥박리, 관상동맥 연축 등 심근으로의 혈류를 기계적 또는 기능적으로 폐쇄하는 질환이 발생하면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2) 심근병증, 심부전 심근의 비후를 초래하는 판막질환, 심근질환, 고혈압환자에서도 부정맥이 발생하거나 심장박출량이 급격히 감소함으로써 .. 2024. 1. 31.
호스피스 영적 돌봄 - 인간 : 영(영혼), 정신(마음), 육체(몸)으로 통합된 유기체 * 영 - 공기의 움직임, 미풍, 입김, 바람, 호흡 - 생명의 본질 & 에너지 - 생명의 원동력, 생명을 가져다주는 힘 - 인간의 가장 깊은 내면 - 정신적 활동의 근원 - 절대자와 관계를 맺는 부분 (종교적 부분) - 인간의 다른 부분을 통합 ((모든 부분과 연관) - 삶의 의미와 목적을 인식하고 성취를 추구하는 역할 * 영성 - 정의 : 자신이 가진 궁극적 의미, 신념, 가치의 관점에서 한 사람이 삶을 살고 이해하는 방식 - 모든 인간이 가진 타고난 필수적이고 통합된 면 (영의 내적 활동과 경험의 외적 표현) - 종교보다 포괄적이고 넓은 개념 -> 개인의 영성은 종교를 통하여 표현될 수도 있고, 삶의 이해와 영적 안녕을 위한 다른 .. 2023. 11. 14.
호스피스 가족간호 1. 가족에 대한 이해 - 호스피스완화간호에서는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접근 필요 - 가족문제에 대한 이해와 해결 없이 전인적인 돌봄이 어렵다 - 의사결정, 환자 돌봄에서 가족의 역할은 중요하다 1) 가족의 정의 - 전통적으로 혼인관계로 맺어진 남녀, 부부와 이들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 또는 혈연집단 - 결혼관계와 혈연관계로 맺어져 서로 상호작용하며 역할을 수행하고 공통된 문화를 창조, 유지, 계승해나가는 일차적 사회집단 -> 오늘날 가족의 정의와 범위는 기존의 개념보다 더 광범위하게 고려해야 한다. ex 대리가족, 가족으로서 기능하는 사람 2) 가족의 기능 - 신체적 기능 : 의식주제공, 자녀출산, 위험으로부터의 보호, 질병예방, 건강유지 - 정서적 기능 : 사랑, 격려,지지 등 정서적으로.. 2023. 11. 13.
호스피스 사회적 돌봄 1. 사회적 돌봄의 필요성 - 사회적 돌봄 : 임종을 앞둔 말기 환자가 여생을 보다 충만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환자와 그의 가족들이 경험하는 사회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사회적 고통을 경감시키며, 사회적 기능 회복을 목적으로 도움을 제공하는 전문적 활동을 말한다. -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환자와 가족의 기본적인 욕구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가족적, 경제적, 영적 요구 등으로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고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어 한 가지 욕구라도 결핍되면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 말기 환자와 가족의 사회적 욕구에는 보통 인구사회학적 지위, 사회적 관계망, 지지체계, 대인관계, 직장생활, 경제적 어려움, 의사소통, 가족관계, 퇴원 이후 돌봄 장소 및 주돌봄자 등의 환경적 문제, 취미, 성, .. 2023.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