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뇨병5

당뇨병과 수술 - 수술전후 철저한 혈당관리 요구 - 수술 중 권장 혈당 : 120-180mg/dL - 수술 중 저혈당 발견의 어려움 - 고혈당시 수술 후 회복기간 길어짐 - 수술 후 200mg/dL 유지, 창상치유 위한 역치 1) 수술 전간호 - 공복혈당 125mg/dL 미만, 식후혈당 180mg/dL 미만 -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평가 및 관리 - 영양상태 평가 - 투약여부 확인 : 항응고제 복용여부 - 신기능평가 : BUN, Creatinine, 전해질, 단백뇨 검사 2) 수술 중 간호 - 목표혈당 : 120~200mg/dL 유지 - 혈당 측정 1~4시간 간격 - 포도당 정맥주입, 인슐린 정맥주사, 신가당 100ml 주입 - 저칼륨혈증 예방 위해 칼륨 주입 - 2형 당뇨병 : 수술 당일 경구용 혈당강하제 복용하지 .. 2023. 5. 5.
당뇨병 합병증 관리 1) 당뇨병성 케톤산증 (지방분해o) (1) 병태생리 ① 당뇨병성 케톤체 대사 - 인슐린 투여중지 또는 결핍 : 처음 2~4시간 내에 간의 포도당 생성이 급격히 증가, 4시간 이내에 혈장 포도당 농도가 290mg/dL 정도로 상승 - 대부분 내원시 혈당 500~600mg/dL - 인슐린 결핍, 성장호르몬 및 카테콜라민 과잉 : 지방조직에서 지방분해 항진, 유리지방산 간 유입 증가 - 지방이 산화되며 다량의 케톤체 생성됨 - 말초조직에서 포도당과 케톤체의 이용감소(인슐린 감소) : 혈액 내 축적 포도당과 케톤체의 혈장농도 증가 ② 산,염기 및 수분, 전해질 불균형 - 증가한 케톤체(약산성) : 혈액 내 수소이온 농도 증가, 대사성 산증 유발 - 고혈당과 무관, 혈당이 정상인 케톤산증 환자도 나타날 수 있음.. 2023. 5. 4.
당뇨병 치료 및 간호 1) 혈당조절 - 엄격하고 적극적인 혈당조절 - 수술 전후, 심근경색, 임신 및 급성질환이 있는 환자 : 더 엄격하게 목표 당화혈색소(%) 위험요소 생화학 지표 정상 목표 6.0 이하 40세 이하, 당뇨병 초기, 합병증이 없는 경우 식전혈당 100이하 80~120 6.5 이하 65세 이하, 당뇨병 10년 이하, 합병증 없는 경우 취침전 혈당 120이하 100~140 7.0 유지 65세 이상, 당뇨병 10년 이상, 합병증 동반 당화혈색소 6이하 6.5이하 - 혈당모니터링 : 자가혈당측정, 당화혈색소 측정 2) 혈압조절 - 130/90mmHg 미만으로 유지 권장 -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경우 : 수축기 혈압 130~140mmHg 정도 유지 -> 관상동맥 혈류 유지 위해 3) 이상지질혈증개선 - 당뇨병 : L.. 2023. 5. 3.
당뇨병의 원인과 분류 1) 1형 당뇨병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전체 당뇨환자의 5~10% 차지 - 유전 또는 감염 등 자가면역질환으로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 - 베타세포 파괴 : 소아는 빠른 속도,, 성인은 느리게 진행 - 80% 이상 파괴되기 전까지 증상 없음, 인슐린 요구량 증가 시 처음 진단되는 경우 많음 구분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과거명칭 청소년 발현형 당뇨병 케톤증-경향성 당뇨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성인 발병형 당뇨병 케톤증-저하성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발병연령 흔히 30세 이하,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병 50대에 호발, 더 일찍 발병 가능 증상 갑자기 발병, 갈증, 허기, 소변량 증가, 체중 감소 보통증상 없음 : 갈증, 피로, 흐릿한 시야, 혈관계 또는 신경계 합병증 원인 바이러스감염 unknow.. 2023.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