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와 보건의료정책
1. 보건정책의 이해 1) 보건정책의 개념 * 보건의료정책 광의의 의미 : 인구집단의 건강상태를 유지,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부나 기타 단체들의 활동 협의의 의미 : 조직화된 노력을 통하여 국민의 건강회복과 유지, 증진을 도모하려는 국가와 사회의 목적달성에 귀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허용되는 활동 [보건 정책 분야] - 보건의료정책 : 진단, 치료, 간호, 진료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 이는 이미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 - 예방정책 : 백신, 검진 프로그램과 같은 특정 질병의 예방을 위한 활동, 보건정보와 교육 등의 건강증진 활동, 식수 음식에 대한 규제를 통한 건강보호 활동 등을 포함 - 직제 간 보건정책 : 직접 보건과 관련된 정책은 아니지만 교통안전 정책, 건축규제, 고..
2024. 1. 31.
지역사회 간호수단
- 지역사회 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수단으로는 건강관리실 활동, 방문활동, 자원 활용 및 의뢰 활동, 면접 및 상담활동, 의사소통을 위한 매체활용, 집단지도, 지역주민 참여 등이 있다. - 수단 선택 시 기술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 대상자의 수용성, 법률적 타당성을 고려 1. 건강관리실 활동 1) 건강관리실 설치장소 - 대상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이용하기 편리한 곳에 설치 - 이동 건강관리실을 설치할 경우 종교 및 정치와 관련이 없는 장소나 건물에 준비하는 것이 주민의 이용률을 높임 - 예를 들면 결핵관리실은 감염가능성을 고려하여 예방접종실로 가는 거리를 두는 것이 좋으며, 산전관리실과 재활치료실은 계단을 오르내리는 불편감을 줄이도록 저층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2) 건강관리실 운영을 위한 기구 확..
2023.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