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코스텐캡슐 복용방법 약리작용 부작용
1) 약리작용성분약리작용아세틸시스테인(Acetylcystein)유리 –sh기를 가지고 있어 항산화 작용 및 점액의 s-s 결합을 분해하여 점액점도를 감소시켜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호흡기계 점막의 섬모운동을 촉진하여 거담작용을 나타낸다. √ 임상응용객담(가래) 용해 작용이 있어 객담의 배출을 쉽게 도와줄 때 사용한다.-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세기관지염-후두염, 부비동염, 낭성섬유증 2) 유해반응√ 소화기계드물게 구역, 구토, 구내염, 가슴쓰림, 설사 등√ 과민반응드물게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두통, 기관지경련(특히 천식 환자)√ 기타드물게 빈맥, 고혈압√ 국내 자발적 유해사례호흡곤란 3) 약물 상호작용 - 경구용 항생물질(아목시실린..
2024. 6. 10.
조혈모세포이식(hematop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후 간호
1. 정의 조혈모세포 이식은 환자의 골수를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과 전신 방사선 조사로 파괴한 후 환자의 인간백혈구항원(HLA)에 맞는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채취하여 생착을 유도하는 것이다.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다발성골수종, 난소암, 고환암, 면역결핍 질환 등에 주로 이용한다. 2. 종류 조혈모세포 이식은 조혈모세포를 타인에게 받는 동종 이식과 자기 것을 쓰는 자가 이식, 일란성쌍생아로부터 받는 경우는 동계 이식으로 분류한다.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은 동종 이식과는 달리 거부반응, 이식편대숙주질환 등 합병증의 발생이 적어 보다 고령의 환자에서도 시행이 가능하다. 조혈모세포의 채취 방법에 따라 골수이식,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태반으로부터 받는 제대혈 이식으로 나뉜다. 말초혈액 조혈모세포는 수술하지 ..
2023. 2. 20.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CRF) 간호
1. 정의 만성신부전은 신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 회복되지 않는 불가역적인 상태를 말한다. 만성적인 신질환이 수개월 이상 계속되어 신원(nephron)이 60% 이상 불가역적으로 감소된 상태로 3개월 이상 사구체 여과율이 60mL/min 이하일 때 진단을 내리게 된다. 2. 원인 만성신부전의 원인은 지역 및 나이 등에 따라 다르지만, 한국에서 주된 발병 원인은 당뇨성 신장 경화증(41%)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그 외에 고혈압성 신병증, 사구체 질환 및 낭성신질환, 세뇨관간질성 질환, 화학약품, 약물, 독성 물질 등도 유발요인이 된다. 3. 만성신부전의 단계 만성 신부전은 사구체 여과율 감소가 없이 가족력, 고혈압, 당뇨, 자가면역질환, AKI병력 등의 위험인자를 가진 상태를 0단계로 하고, 신장..
2023.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