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5

레토나제정 복용방법 약리작용 부작용 1) 약리작용성분약리작용스트렙토도르나제(streptodornase)디옥시리보뉴클레아제(deoxyribonuclease) 로 농의 주성분인 DNA를 분해시킨다.스트렙토키나제(streptokinase)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의 플라스민(plasmin)으로의 전환을 활성화 시킨다. 플라스민은 섬유소를 분해시키고 피브리노겐(fibrinogen) 및 기타 응혈원 단백질을 수용성 물질로 분해시킨다.√ 임상응용염증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소염효소제이다. 수술 및 외상 후 종창 완화, 부비동염, 호흡기 질환에 수반하는 객담 배출 곤란 증상 완화에 사용한다.     2) 유해반응√ 과민반응때때로 발진, 발적 등의 과민증상 및 아나필락시반응 (쇼크,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 소화기계설사, 때때로 식욕부진, 위.. 2024. 6. 24.
뮤코스텐캡슐 복용방법 약리작용 부작용 1) 약리작용성분약리작용아세틸시스테인(Acetylcystein)유리 –sh기를 가지고 있어 항산화 작용 및 점액의 s-s 결합을 분해하여 점액점도를 감소시켜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호흡기계 점막의 섬모운동을 촉진하여 거담작용을 나타낸다.     √ 임상응용객담(가래) 용해 작용이 있어 객담의 배출을 쉽게 도와줄 때 사용한다.-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세기관지염-후두염, 부비동염, 낭성섬유증         2) 유해반응√ 소화기계드물게 구역, 구토, 구내염, 가슴쓰림, 설사 등√ 과민반응드물게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두통, 기관지경련(특히 천식 환자)√ 기타드물게 빈맥, 고혈압√ 국내 자발적 유해사례호흡곤란     3) 약물 상호작용 - 경구용 항생물질(아목시실린.. 2024. 6. 10.
조혈모세포이식(hematop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후 간호 1. 정의 조혈모세포 이식은 환자의 골수를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과 전신 방사선 조사로 파괴한 후 환자의 인간백혈구항원(HLA)에 맞는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채취하여 생착을 유도하는 것이다.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다발성골수종, 난소암, 고환암, 면역결핍 질환 등에 주로 이용한다. 2. 종류 조혈모세포 이식은 조혈모세포를 타인에게 받는 동종 이식과 자기 것을 쓰는 자가 이식, 일란성쌍생아로부터 받는 경우는 동계 이식으로 분류한다.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은 동종 이식과는 달리 거부반응, 이식편대숙주질환 등 합병증의 발생이 적어 보다 고령의 환자에서도 시행이 가능하다. 조혈모세포의 채취 방법에 따라 골수이식,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태반으로부터 받는 제대혈 이식으로 나뉜다. 말초혈액 조혈모세포는 수술하지 .. 2023. 2. 20.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차이점 1. 혈액투석(hemodialysis) 혈액투석은 과도한 체액과 노폐물을 제거하고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복구한다. 혈액투석은 신장의 여과기능과 배뇨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환자의 혈액이 인공적 반투막을 통과할 때 체액과 노폐물을 제거하게 된다. 투석하는 동안 농도 차이 때문에 혈액으로부터 투석액으로 노폐물이 이동한다 (확산). 잉여수분도 혈액으로부터 투석액으로 삼투에 의해 제거된다. 전해질은 어느 방향으로든 움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물과 함께 이동한다. 칼륨과 나트륨은 전형적으로 혈장으로부터 투석액으로 이동한다. 중탄산염과 칼슘은 일반적으로 투석액에서 혈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순환과정은 미리 정해놓은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수분과 전해질과 산염기 균형을 회복하고 노폐물을 제거한다. 2. 복막투석(.. 2023.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