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101

해부학 근육계통 근육(muscle)은 수축력이 큰 근육세포들이 모여 있는 조직이다. 우리 몸의 근육은 뼈와 연결되어 있거나, 심장이나 내장기관의 벽을 형성하고 있다. 근육의 기능은 운동을 일으킬 뿐 아니라 자세유지와 관절의 안정성, 체온을 유지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근육조직 근육조직은 가늘고 긴 원주형인 근육세포와 약간의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세포는 그 형태 때문에 근육섬유라 불리기도 하며, 세포막인 근형질막에 싸여있다. 근육세포에는 액틴세사와 마이오신세사가 있어 수축을 일으킴 규칙적인 배열에 따라 가로무늬가 관찰되면 횡문근, 무늬가 없으면 평활근이라 한다. 근육의 종류 뼈대근육 skeletal muscle 심장근육 cardiac muscle 내장근육 visceral muscle 가로 무늬 o o.. 2023. 8. 13.
해부학 관절계통 우리 몸의 206개의 뼈는 서로 관절을 이루면서 우리 몸의 형태와 운동의 지렛대 역할을 담당하고 성장의 기능과 운동을 담당한다. 1. 관절의 종류 ★★조직에 따라 유형 두 뼈의 연결 분류 예 섬유관절 fibrous joint 섬유치밀 결합조직 봉합 suture 톱니봉합 평면봉합 비늘봉합 못박이관절 gomphosis 치아뿌리와 이틀돌기 사이의 관절 인대결합 syndesmosis 요척인대결합 연골관절 cartilaginous joint 유리연골 유리연골 synchondrosis 골단판 섬유연골 섬유연골 symphysis 치골결합 윤활관절 synovial joint 관절 주머니 활주관절 plane joint 손목뼈사이관절 접번관절 hinge joint 주관절 차축관절 pivot joint 근위요척관절 타원관절.. 2023. 8. 12.
인공호흡기 (Ventilator) 적응증 ventilator mode 1. 정의 자발적 호흡으로 가스교환(환기)이 불충분할 때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산소흡입과 이산화탄소 배출을 도와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와 산소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호흡기능을 향상하는 기구를 말한다. ventilator는 intubation을 통하여 가스를 기계적으로 양압으로 흡기를 이루며, 양압을 중단하면 자연스럽게 폐가 수축하면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빼는 호기가 이루어진다. 2.. 적응증 - 저산소성 호흡부전 : FiO2 60% 이상 제공 시, SaO2(동맥혈 산소포화도)가 90% 이상 넘지 않을 때 - 이산화탄소의 체내축적으로 반응이 없거나 무의식일 때 : SpO2가 95%이상 check되더라도 PCO2가 많이 축적되어 있다면 배출하기 위해 적용 - 동맥혈 pH 저하 및 산성증 : ABGA상의 PCO.. 2023. 7. 9.
약물중독환자 응급처치 1. 개요 중독(poisoning)이란 어떤 형태의 위험 물질이 인체 내에 들어가거나 피부에 접촉됨으로써 건강에 해로움을 야기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위험 물질에는 치료약제, 가정 또는 공업용 약품, 농약, 약물남용 등이 있으며 실수에 의한 중독의 약 2/3가 치료약제와 약물의 중독이며, 약물 과량 복용의 원인 중 절반 이상이 처방된 약의 남용과 오용이다. 사고로 인한 중독환자의 대다수는 영 · 유아이며 화장품, 의약품, 세제 등 가정 내 물질로 인한 중독이 대부분으로 예방 가능한 경우가 많다. 성인의 경우 작업 현장, 가정, 야외 등에서 유해 화학물질 등에 노출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 의도적인 사고로 자살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에는 각종 환각물질에 중독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 2023. 6. 27.
당뇨병과 수술 - 수술전후 철저한 혈당관리 요구 - 수술 중 권장 혈당 : 120-180mg/dL - 수술 중 저혈당 발견의 어려움 - 고혈당시 수술 후 회복기간 길어짐 - 수술 후 200mg/dL 유지, 창상치유 위한 역치 1) 수술 전간호 - 공복혈당 125mg/dL 미만, 식후혈당 180mg/dL 미만 -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평가 및 관리 - 영양상태 평가 - 투약여부 확인 : 항응고제 복용여부 - 신기능평가 : BUN, Creatinine, 전해질, 단백뇨 검사 2) 수술 중 간호 - 목표혈당 : 120~200mg/dL 유지 - 혈당 측정 1~4시간 간격 - 포도당 정맥주입, 인슐린 정맥주사, 신가당 100ml 주입 - 저칼륨혈증 예방 위해 칼륨 주입 - 2형 당뇨병 : 수술 당일 경구용 혈당강하제 복용하지 .. 2023. 5. 5.
당뇨병 합병증 관리 1) 당뇨병성 케톤산증 (지방분해o) (1) 병태생리 ① 당뇨병성 케톤체 대사 - 인슐린 투여중지 또는 결핍 : 처음 2~4시간 내에 간의 포도당 생성이 급격히 증가, 4시간 이내에 혈장 포도당 농도가 290mg/dL 정도로 상승 - 대부분 내원시 혈당 500~600mg/dL - 인슐린 결핍, 성장호르몬 및 카테콜라민 과잉 : 지방조직에서 지방분해 항진, 유리지방산 간 유입 증가 - 지방이 산화되며 다량의 케톤체 생성됨 - 말초조직에서 포도당과 케톤체의 이용감소(인슐린 감소) : 혈액 내 축적 포도당과 케톤체의 혈장농도 증가 ② 산,염기 및 수분, 전해질 불균형 - 증가한 케톤체(약산성) : 혈액 내 수소이온 농도 증가, 대사성 산증 유발 - 고혈당과 무관, 혈당이 정상인 케톤산증 환자도 나타날 수 있음.. 2023.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