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N

인구통계자료 생정통계

by Hlog 2023. 4. 6.
728x90
반응형

인구통계자료

인구통계는 출생, 사망, 유입 및 유출의 요소로 작성된다. 인구정태와 동태통계 자료가 있으며 이 외에 정부 각 부처와 공공기관의 연감이나 간행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1) 인구정태통계

- 어떤 시간적인 단면의 조사시점을 정하여 인구특성을 파악하는 것

- 구체적으로 연령, 성별, 산업별, 직업, 직종, 농업과 도시별, 교육정도 등을 조사하는 것

- 특히 인구의 규모, 구조 및 분포 등은 그 사회의 보건상태를 알리는 지표로 이용되어 보건의료계획을 세우는 중요한 자료

(1) 전수조사

- 정기적으로 어떤 한 시점의 일정 지역에 있는 인구에 대한 개인단위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 보통 5년 또는 10년의 일정한 간격으로 실시

(2) 표본조사

- 특수한 목적을 위해 한정된 내용의 통계자료를 수집할 때 사용

- 표본을 추출할 때는 표본의 대표성이 확보되어야 함

 

2) 인구동태통계

- 일정 지역 내의 인구가 어느 일정한 기간 동안 출생, 사망, 전입 및 전출 등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에 대한 통계

- 주민등록이나 호적 신고 등의 법적 의미신고에서 간접적으로 얻는 통계가 이에 해당

- 우리나라에서는 이 신고자료를 바탕으로 매년 통계청에서 인구동태통계연보를 발행하고 있음

- 선진국일수록 정확할 수 있으나 후진국의 경우 제대로 신고가 되지 않고 있음

반응형

생정통계

1) 출생률

(1) 조출생률

  = 연간총출생아수 / 연 중앙인구 * 1,000

 

(2) 일반출산률

   = 연간 총 출생아수 / 연간 총 출생아 수 * 1,000

 

(3) 연령별 특수 출산율

   = 그 해 특정 연령층 여성에 의한 출생아수 / 연 중앙 특정 연령층 여성 수 * 1,000

 

(4) 합계출산율 : 한 명의 여자가 특정 연도의 연령별 출산율에 따라 출산을 할 때 일생 동안 모두 몇 명의 아이를 낳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연령별로 출산율을 구하여 이를 모두 더하여 산출한다. 국가별 출산력 수준을 비교하는 주요지표로 사용

 

(5) 총 재생산율 : 한 명의 여자가 일생동안 몇 명의 여자 아이를 낳는가를 나타내는 지수

   = 합계출산율 * 여아 출생아수 / 총 출생아수 

 

(6) 순재생산율 : 출생한 여아가 가임연령에 도달할 때까지 생존하는 여아생존율을 곱해서 산출

* 순재생산율이 1보다 작을 경우에는 축소 재생산으로 인구는 감소!

 = 총재생산율 * 가임연령 시 생존 수 / 여아 출생아 수 

 

2) 사망률

(1) 조사망률

  = 같은 해 1년 총 사망수 / 특정연도 연 중앙인구 * 1,000

 

(2) 주산기 사망률 (모자보건 분야 대표지표)

 = 같은 해 28주 이후의 사산수 + 생후 1주 이내의 사망 수 / 출생아 수 * 1,000

 

(3) 영아 사망률 (보건 수준 대표지표)

 = 생후 1년 미만의 영아사망수 / 어떤 연도의 출생 수 * 1,000

 

(4) 신생아 사망률

   = 생후 28일 이내의 사망수 / 어떤 연도의 출생 수 * 1,000

 

(5) 모성 사망률

 = 사망한 모성 수 / 가임여성 수 * 1,000

 

(6) 모성 사망비

 = 사망한 모성 수 / 어떤 연도의 출생 수 * 100,000

 

(7) 비례사망지수 : 값이 클수록 그 지역의 건강(보건) 수준이 좋다는 것을 나타냄 

   = 그 해 50세 이상 사망자 수 / 연간 총 사망수 * 1,000

 

(8) 비례사망률 

 = 그해 특정 질환으로 사망한 수 / 연간 총 사망수 * 1,000

 

(9) a-index (알파 인덱스)

- 1에 근접할수록 그 지역의 건강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

- 값이 클수록 신생아기 이후의 영아 사망이 크기 때문에 영아 사망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

= 같은 연도의 영아 사망수 / 어떤 연도의 신생아 사망 수 

728x90
반응형

'C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건강진단 종류  (0) 2023.04.18
인구구조의 유형별 특징  (0) 2023.04.07
인구의 개요  (0) 2023.04.05
분석역학  (0) 2023.04.04
기술역학  (0) 202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