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간호8 인지적 발달단계에 따른 죽음의 이해와 간호 (1) 감각운동기(0~2세, 영유아기) 발달과업 및 특성 대상의 영속성이 확립되는 시기이고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과 자신이 분리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때 죽음의 이해 죽음을 가역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분리공포, 박탈, 위협적 감각으로 받아들임. 죽음은 단지 눈앞에 보이지 않게 사라진 것이라고 생각하며 죽음, 일시적 헤어짐, 버려지는 것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함. 부모-아동의 애착과 신뢰형성이 성립된 후 의미있는 사람의 상실은 충격이 크다. 죽음에 대한 반응 언어적 능력이 발달되지 않아 그들의 감정을 주로 울음, 분리불안, 주양육자에 대한 애착 등의 형태로 표현. 보이지 않게 되었을 때 분리에 대한 반응이 나타나며 육체적 접촉으로 헤어짐에 대한 불안이 경감됨. 누군가의 죽음에 대해서 마치 그 사람이 살아있는 것처.. 2023. 11. 5. 호스피스완화간호 이해 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의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가 남은 여생 동안 인간으로서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 순간을 편안하게 맞이하도록 환자와 그 가족을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도우며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한 총체적 돌봄이다. (괄호문제) ★★ 완화의료의 정의 (2002, who) - 완화의료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과 관련하여 문제를 가진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목적을 둔 접근 - 통증이나 신체, 심리사회적, 영적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평가와 치료를 함으로 고통을 예방하고 완화시킴 ✓ 완화의료의 활동, 내용 - 통증과 여러 디스트레스 증상을 완화시킴 - 삶을 지지하고 죽음을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받아들임 - 죽음을 앞당기거나 지연하는 시도를 하지 않음.. 2023. 11.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