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위암 간호진단 : 통증, 지식부족, 영양결핍, 감염위험성

by Hlog 2023. 2. 24.
728x90
반응형
 

간호학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작성방법 TIP

안녕하세요 :) ​ 오늘은 간호학과 학생이라면 실습 나가서 해야 할 가장 big event라고 할수있는 케이스 스터디에 대해 TIP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대부분 처음 케이스를 작성할 때 어떻게 작성해야

harulog2.tistory.com

 

#1 위절제술과 관련된 통증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수술 부위가 너무 아파요.”
 
<객관적 자료>
- 통증 사정 시 점수가 NRS 7점이다.
- 얼굴 부위를 찡그리며 수술 부위를 손으로 감싸고 있다.
 
간호
목표
<장기목표>
- 통증이 조절되어 안위가 유지된다.
 
<단기목표>
- 통증 감소를 말로 표현한다.
- 통증척도(NRS) 점수 3점 이하로 감소한다.
간호
계획
①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 통증의 정도는 NRS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② 통증유발요인과 완화요인을 확인한다.
- 질문과 관찰을 통해 통증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피하게 한다.
 
③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 진통제의 작용,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① 통증에 대한 정확한 사정은 효과적인 중재를 계획하고 올바른 중재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② 간호중재를 계획하기 쉽게 한다.
 
 
③ Morphine 같은 마약성 진통제는 구토, 호흡억제, 동공이완, 저혈압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간호
평가
 
- 통증 정도가 NRS 2점으로 감소되었다.
- “수술 부위가 이제 불편하지 않아요.”라고 말했다.
 
#2 위 절제 후 식이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무엇을 먹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 “저 과일 먹어도 될까요?”
 
<객관적 자료>
- 위전절제술을 받았다.
 
간호
목표
<장기목표>
- 식이 조절을 하여 합병증을 예방한다.
 
<단기목표>
- 위 절제 후 식이조절의 중요성을 안다.
- 위 절제 후 식이요법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다.
-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방법을 안다.
 
간호
계획
① 위 절제식이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 개방형 질문으로 대상자의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② 위 절제식이에 대해 교육한다.
- 고섬유질 식이는 금하고, 음식을 먹는 중간에 물을 마시지 않도록 교육한다.
 
③ 덤핑 증후군의 증상 및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고단백, 적절한 지방식, 저탄수화물의 음식을 천천히 소량씩 자주 먹도록 교육한다.
- 식후 30분 정도는 반좌위로 누워서 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④ 비타민 B12 주사 법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① 간호중재를 계획하기 쉽게 한다.
 
 
② 고섬유질 식이는 위 손실로 완전분해가 어렵다.
 
 
③ 위절제술 후에는 덤핑 증후군이 올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덤핑 증후군의 증상은 심계항진, 어지러움, 식은땀, 설사 등이며 식후 15분 만에 발생한다.
 
 
④ 위 손실로 비타민 B12 흡수장애가 발생한다.
간호
평가
  
- 합병증 때문에 식이 조절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았다.
- 식이요법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
- 비타민 B12 주사를 스스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반응형
#3 소화흡수 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입맛이 없어요.”
 
<객관적 자료>
- 위전절제술을 받았다.
- 오심, 구토가 나타남
- 최근 5kg 체중감소
 
간호
목표
 
- 대사요구에 맞는 식이를 섭취한다.
- 더 이상 체중이 감소되지 않는다.
 
간호
계획
①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 식사력 및 식사양상을 사정하고 신체검진을 통해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② 임상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 CBC, prothrombin, albumin 검사 등의 결과를 확인한다.
 
③ 식사량을 조절한다.
- 소량씩 자주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① 영양 결핍 시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하지방층이 얇아지며 근육의 긴장성이 상실되며 잇몸이 붓고 균열이 온다.
 
② CBC, prothrombin, albumin 검사는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된다.
 
③ 포만감을 줄이는 방법이다.
간호
평가
 
- 소량씩 식사를 시작하였다.
- 체중변화가 없었다.
 

 

#4 수술 상태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수술 부위가 불편해요.”
- “몸에서 열이 나는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 위전절제술을 받았다.
- 수술 후 1일째(11/7) 체온이 37.6℃로 측정되었다.
- 수술 후 1일째(11/7) 백혈구 수가 14,000/㎣로 측정되었다.
 
간호
목표
<장기목표>
- 감염이 예방된다.
 
<단기목표>
- 체온이 37℃ 미만으로 측정된다.
- 백혈구 수가 8,000/㎣ ~ 10,000/㎣으로 측정된다.
- 수술상처 부위가 깨끗하게 치유된다.
 
간호
계획
①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 활력징후는 매 2시간마다 측정한다.
 
② 감염지표를 모니터한다.
- 수술 후 3일간 매일 백혈구 수치를 검사한다.
- 수술 상처 부위의 감염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 드레싱 교환 시 감염의 증상이나 징후가 없는지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① 감염 시 체온, 혈압, 맥박, 호흡수가 상승한다.
 
② 감염 시 백혈구 수가 증가하고, 발적, 발열, 배액물 증가 등을 비롯한 여러 증상과 징후가 나타난다.
간호
평가
 
- 수술 당일 체온이 36.5℃이었으며, 수술 후 1일째 37.6℃로 상승하였으나 수술 후 2일째 36.4℃였다.
- 수술 후 1일째 백혈구 수가 14,000/㎣으로 상승하였으나, 수술 후 2일째에는 9,700/㎣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 수술상처는 깨끗하게 치유되는 과정이며 부종, 출혈, 발적이 없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