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5

airway 삽입 (기관 내 삽관) 기도 확보를 위해 기관 내에 관을 삽입하는 것으로, 외상, 이물질, 중추신경 질환 등에 의한 호흡장애나 기도 폐색, 분비물의 저류 및 호흡기능 저하 등으로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 등에 사용한다. 기관 내 삽관은 환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기관 삽관 튜브를 삽입하여 후두를 통해서 기관에 삽입되는 방법이다. 가장 확실한 기도유지 방법이며 병원에서의 심정지 상황에서 흔히 사용하는 응급소생대책이다. 1. 기관 내 삽관 목적 - 기도의 개방성 유지 - 흡인(aspiration) 방지 - 분비물 제거 용이 - 양압적 인공호흡을 시작할 수 있음 - 산소화와 환기가 용이 - 응급투약의 경로가 됨 2. 필요한 기구 - ambu-bag과 ask - Laryngoscope - Endotracheal tube와 Stylet와 .. 2022. 8. 26.
기관절개관 드레싱을 할 때 사용하는 용액의 특성과 세척할 때 과산화수소와 생리식염수 사용 이유, Y거즈 끼울 때 주의사항 1. 기관절개관 드레싱을 할 때 사용하는 용액의 특성 ▸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소독약에 속한다. 넓은 항균스펙트럼을 지니고 그람음성, 양성의 양균에 살균력을 지닌다. 피부자극작용이 없고 기구를 부식하지 않기 때문에 1% 수용액을 화농성차앙, 피부·점막의 세척, 소독에 사용한다. ▸ 과산화수소(H2O2) 수소와 산소의 화합물로 옅은 푸른색을 띠며 희석한 용액은 무색이고 물보다 점성이 큰 액체이다. 과산화수소를 사용했을 때 피부 조직 내 생체촉매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산소가 피부 소독 작용을 한다. ▸ 멸균증류수 기관절개관 드레싱 시 민감한 피부의 경우 사용, 체강, 조직, 상처, 요도, 카테터, 외과 배농관의 세척시 관류. 외과용 붕대, 기구, 실험실 표본의 세정, 헹굼, 담금. 약품조.. 2022. 8. 25.
위 수술 대상자의 수술 전후 간호 및 합병증 Ⅰ. 위 수술 전 · 후 간호 1. 위절제술 ▪ 부분 위절제술 (subtotal gastrectomy) 위의 하부를 제거한 후 남은 위를 십이지장에 문합하는 위십이지장문합술(BillrothⅠ)과 위의 말단을 절단하고 절단 부분을 공장과 문합하는 위공장문합술(BillrothⅡ)이 있다. 이 수술방법은 암뿐만 아니라 소화성궤양을 치료하기 위해 미주신경절단술과 함께 시행하거나 위염, 종양, 유문부 폐색시에도 적용한다. ▪ 완전 위절제술 (total gastrectomy) 침범부위가 넓은 진행성 위암이나 Zollinger -Ellison 질환 시는 위를 완전히 제거하기도 한다. 전이가 의심될 때는 주위의 림프절까지 모두 제거하는 근치 위절제술을 시행한다. 이때 식도는 십이지장이나 공장과 문합하거나 결장의 일부분.. 2022. 8. 24.
수술 전 간호 1. 수술 전 환자 교육 1) 일반적인 수술 정보 - 수술 전 준비 내용, 수술에 대한 내용 및 수술 후 해야 할 심호흡, 기침, 운동에 대해 교육한다. - 수술 전 피부 준비, 관장, 금식과 더불어 수술 후 삽입된 배액관이나 튜브, 정맥 주입 또는 특정 장비의 작용법이나 관리법에 대해 교육한다. 2) 호흡기계 합병증 예방 교육 - 수술 후 부동자세, 진정제 투여, 통증, 마취 등으로 폐환기가 감소되어 폐포가 허탈되는 무기폐가 생길 수 있으며, 분비물이 축적되어 기관지염이나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 수술 전에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설명하고 심호흡과 호흡 운동을 연습하도록 하면 수술 후 쉽게 이행할 수 있다. 3) 능동적 운동 - 수술 후 자주 체위 변경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통증이나 불.. 2022. 8. 19.
수술 후 합병증 및 간호 관리 1. 호흡기계 - 합병증 : 무기폐, 폐렴, 폐색전증 - 기도 개방성을 확인하고 호흡의 깊이, 호흡음 등을 사정한다. - 심호흡과 기침은 환자의 폐포 허탈을 방지하고 분비물이 큰 기도로 이동하게 하여 객담 배출을 쉽게 한다.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하고 심호흡 호기 후 기침을 하도록 한다. - 흉곽 팽창을 증진시키고 양쪽 폐의 관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환자의 체위는 매 2시간마다 변경해야 한다. - 가습기를 틀거나 경구 수분 섭취를 권장하여 객담을 묽게 하여 배출을 쉽게 하도록 한다. - 조기이상(early ambulation)은 모든 신체 기능을 향상한다.. 가능한 빠른 시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2. 심혈관계 - 합병증 : 쇼크, 정맥혈전증, 부정맥, 저혈압 - 심부정맥혈전증은 노인이나 비만, .. 2022. 8. 19.
신장이식 대상자의 격리술과 전염성 설사 대상자의 격리술과의 차이점 1. 신장이식 대상자의 격리술 신장이식은 조직 이식으로 이식 후 거부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거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환자에게 면역억제제를 투여하게 된다. 면역억제제로 인하여 대상자는 외부의 병원균에 대해서는 면역기능을 나타내지 못하므로 환자는 외부균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게 된다. 약해져 있는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균의 수를 감소시키고자 무균실에 역격리를 한다. 1) 정의 감염 감수성이 큰 환자를 격리하여 외부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타인과 환경으로부터 환자를 보호). 2) 대상 질병이나 상처 혹은 면역억제제의 사용으로 감염에 대해 정상적인 신체 방어력이 낮아진 사람들에게 필요함. 3) 일반적인 지침 ① 손위생 - 병실 출입 시 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위생을 수행한다. ② 방문객 - 방문객을 가.. 2022.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