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5

지역사회간호와 문화적 다양성 1. 다문화의 개요 - 다문화주의라는 용어는 처음 1957년 스위스에서 사용 1960년대 후반기 캐나다에서 널리 사용 - 다문화주의는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사상이나 정책을 의미 - 문화 동화와 문화 적응의 과정은 개인과 문화적 단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응하고 변하는 방식으로 간략하게 정의 2. 지역사회 다문화간호 1)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중요성 - 다문화간호에서 지역사회간호사는 문화적으로 역량 있는 지역사회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의 삶의 방식, 가치체계, 건강과 질병행위를 이해하고, 다양한 가치, 행동, 생활양식을 지닌 사람들에 대해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 다문화간호에서 대상자에게 필요한 건강간호를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 2022. 9. 4.
지역사회와 건강 1. 건강결정요인 - 직접적 기여요인 : 건강 수준에 직접 영향을 주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요인 - 간접적 기여요인 : 직접적 기여요인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의 특수한 요인, 건강 수준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은 없으나 건강 수준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정도로 연관성이 있는 요인 ex) 신생아 사망률의 결정요인으로 저체중을 꼽을 수 있는데 저체중에 기여하는 직접적 기여요인은 임산부의 산전건강 관리를 들 수 있고, 간접적 기여요인으로는 교통 등 의료 접근성의 정도로 꼽을 수 있음 [에반스와 스토다트의 건강의 결정요인에 대한 개념적 구조] : 개인의 건강은 개인적인 건강행태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 유전적 환경은 환경이나 개인의 행태와 달리 개인의 노력에 의해 변화시킬 수 없다. [건강의 주요 결정요소] 첫.. 2022. 9. 4.
지역사회의 이해 1. 지역사회의 정의 지역사회란 공통의 이익과 의식을 가진 사회적 상호작용이 있는 공동체적 집단 2. 지역사회의 분류 ★★ 1) 구조적 지역사회 - 지역사회주민들 간에 시간적, 공간적인 관계에 의해서 이루어진 공동체 집합체 -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모인 이유에 관계없이 집합 그 자체 - 동일한 건강문제를 가진 집단이나 보건의료문제 측면에서 생활환경 자체가 건강에 위협이 되는 위험집단 ex) 뇌졸중의 위험을 가진 집단, 환경적으로 위험한 집단, 사람들의 행태에 의하여 나타나는 위험한 집단 대면 공동체 - 지역사회의 기본적인 집단 - 구성원 상호 간에 교류가 빈번함으로 소식이 서로 쉽게 전달되고 모든 사람들은 서로의 상황에 대해 알고 있음 - 친밀성과 공동의식을 소유하고 있는 집단으로 가족, 이웃, 교민회 등.. 2022. 9. 3.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1. 보건의료체계의 구성요소 1) 보건의료의 개념 - 협의적으로는 의료 / 광의적으로는 보건의료 또는 포괄적 보건의료 2) 보건의료서비스의 개념 (1) 보건의료서비스의 종류 - 질병의 자연사 -> 일차예방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 이차예방 (조기발견과 치료) / 삼차예방 (재활) - 대상자 건강문제 -> 일차진료 / 이차진료 / 삼차진료 2. 보건의료자원의 종류 1) 보건의료시설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 시, 군, 구별로 1개소 (필요할 경우 시장, 군수, 구청장은 추가 설치) - [지역보건법] 제10조 [동법 시행령] 제8조 - 1956년 [보건소법] 제정 -> 1995년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 - 읍, 면(보건소가 설치된 읍, 면은 제외) 별로 1개소 (필요할 경우 시장, 군수, 구청장은.. 2022. 9. 3.
지역사회간호의 역사 1. 외국의 지역사회보건간호의 역사 1) 방문간호시대 (~1900년) (1) 종교적 형태의 방문간호사업 - Phoebe(푀베) : 기독교 여집사로 최초의 지역사회 간호사 - Sales(1610, 프랑스) : 우정의 방문자회를 만들어 가정 내 상병자를 위한 방문간호단 조직 - Paul(1617, 프랑스) : 파리의 자녀수녀단을 창설하여 방문간호를 함. 현대 방문간호의 원칙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간호사업 전개 (2) 비종교적 형태의 방문간호사업 - 윌리엄 라스본(1859) : 영국의 리버풀에서 최초로 비종교적 방문간호 사업시작. 구역간호사업 전개 - 릴리안 월드(1893) : 미국 뉴욕 헨리가 빈민구호소를 설치하여 간호의 접근성 높임. 체계적, 비종교적, 전문적인 방문간호사에 의해 실시된 사업. 방문간호를 .. 2022. 9. 2.
지역사회간호의 정의 1. 건강의 개념 1) 건강개념의 변천 (1)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개념 - 1948년 ‘건강이란 다만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라고 정의 2) 간호문헌에 나타난 건강의 개념 (1) 지역사회에 초점을 둔 건강의 개념 - 지역사회에서의 건강개념의 공통점 중 하나는 건강이 절대적이며 정지된 상태를 의미하는 개념이 아닌, 상대적이며 역동적이라는 점 - 지역사회에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건강을 정의하기보다는 지역사회나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건강을 정의하고 있음 - 지역사회간호는 퇴원 후에도 건강문제가 있는 모든 대상자를 비롯해서 최적의 건강상태에 있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그들의 간호요구를 충족시키기.. 2022.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