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 : 2023년 기저귀 바우처 신청방법
오늘은 흔히 기저귀바우처라고 불리는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저귀 지원대상 (0-24개월 미만 영아)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자격보유가구를 대상으로 영아별 지원 -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장애인 가구 및 다자녀(2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영아별 지원 * 다자녀가구의 경우 둘째아 출생 당시 첫째아가 24개월 미만인 경우 첫째아도 지원가능 가구원 수 기준중위소득 80%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2,765,000 98,924 32,295 99,340 3인 3,548,000 126,502 74,650 127,725 4인 4,321,000 153,999 116,161 155,838 5인 5,065,000 181,294 1..
2023. 2. 16.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루게릭병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간호
- 루게릭병, 뇌간, 척수, 대뇌피질의 운동 신경원을 침범하는 퇴행성 질환 - 감각신경과 자율신경계는 침범하지 않고 정신상태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음 -> 감각, 방광과 장의 기능, 인지기능 정상 - 호흡근의 약화와 마비로 2~6년 내에 사망 원인 및 병태생리 - unknown 임상증상 (1) 사지형 - 하부 운동신경원의 장애가 초기에 나타난다면 비대칭성 근력약화가 한쪽 상지 혹은 하지 원위부에서 서서히 진행하게 됨 (2) 구형 - 탈신경이 사지근육보다 연수의 지배를 받는 근육에 먼저 발생하면 저작, 연하곤란, 얼굴과 혀의 운동장애 등이 초기증상 - 제9, 10, 11, 12운동성 뇌신경에 지배되는 근육의 마비 (3) 진행된 경우 -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여러 근육들이 침범되어 모든 부위에서 대칭적으..
2023. 2. 16.
치매와 알츠하이머 간호
- 후천적인 인지기능 손상에 의해 만성적이고 진행성으로 기억력, 언어능력, 시공간기능, 실행기능, 판단력 등의 장애와 정서증상, 성격변화, 행동증상 등을 나타내는 뇌질환 원인과 분류 - 퇴행성 질환, 약물중독, 두부외상, 범발성 뇌손상, 세균성 수막염, 바이러스성 뇌염, 혈관성으로 심혈관계 질환 - 알츠하이머병 : 만성적이고 점진적인 대뇌의 퇴행성 질환으로 65세 이상 치매환자의 가장 흔한 원인 - 그 외 루이체 치매, 파킨슨병 치매, 전두엽 치매 병태생리 - unknown - 알츠하이머병 : 신경반과 신경섬유매듭이 뇌에서 발견,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부족으로 기억과 학습에 장애 임상증상 - 기억장애로 시작하여 언어와 시공간 감각의 결손으로 진행 (1) 경도인지장애 - 객관적인 기억장애 호소, 정상..
2023.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