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

뇌전증 간호

by Hlog 2023. 2. 12.
728x90
반응형
정의 및 원인

- 발작 : 짧은 시간 동안 발작적으로 과도한 전류를 발생시켜 나타나는 것
- 뇌전증 : 만성적 잠재 원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작을 일으키는 것

발작의 분류

- 부분발작 : 대뇌 반구의 어느 한 부위에서 국소적으로 시작되는 신경세포의 과흥분성 국소형 발작
- 전신발작 : 대뇌 양쪽 반구에 내재된 중심 부위에서 시발되어 동시에 대뇌반구 전체로 퍼져 나가거나 광범위한 부분에서 시작되는 발작

1) 전신발작
(1) 소발작
- 5~10세 소아 호발, 5~10초 이내 종료
- 자신이 발작을 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발작 직전에 하던 행동이나 상황으로 복귀함
- 운동활동의 일시적 정지가 일어남
- 숨을 크게 몰아 쉬는 과호흡 상태에서 이상 뇌파가 발생

(2) 근간대성 경련 발작
- 빠르고 순간적인 근육의 수축이 한쪽, 양쪽 팔다리와 몸통에 한번 또는 연달아 반복됨
- 깜짝 놀란 듯한 불규칙한 근수축이 나타남
- 주로 잠에서 깬 직후에 발생하거나 수면이 부족할 때 발생

(3) 간대성 발작
- 의식소실과 함께 일어나고 갑작스러운 근육 긴장도가 소실되며 사지경련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남

(4) 대발작
- 발작 초기부터 갑자기 정신을 잃고, 호흡곤란, 청색증 등이 나타나면서 전신이 뻣뻣해지고 눈동자와 고개가 한쪽으로 돌아가는 강직 수축 현상이 나타남
- 강직이 일정 시간 지속된 후 팔다리가 규칙적으로 힘을 강하게 주었다가 뺐다가 하면서 떨리는 간대성 운동이 나타남
- 입에서 침과 거품이 나오고, 턱의 간대성 발작 때 혀를 깨물기도 하며 발작 중에 소변이나 대변을 보기도 함
- 발작은 보통 1분을 넘지 않으며, 발작 후에는 대개 깊은 수면이 뒤따르는데, 일시적인 의식장애가 뒤따르기도 하며 일정 시기 동안의 기억소실이 동반

(5) 무긴장성 발작
- 1~2초간 지속되는 갑작스런 근육 긴장의 소실, 매우 짧은 시간 고개를 떨구거나 끄덕이는 운동, 의식소실과 함께 전신 근육에 힘이 빠져 넘어지기도 함

(6) 긴장성 발작
- 갑작스러우며 지속적인 근수축이 의식상실과 함께 나타남

2) 부분발작
(1) 단순부분발작
- 의식상태(-), 운동 감각 자율신경 또는 정신적 증상(+)
- 단순부분운동발작 : 한쪽 손이나 팔을 까딱까딱하거나 입꼬리가 당기는 형태
- 단순부분감각발작 : 한쪽의 얼굴, 팔, 다리 등에 이상 감각
- 자율신경계 증상 : 속에서 무언가 치밀어 올라오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고 모공이 곤두서고 땀이 나는 증상

(2) 복합부분발작
- 의식손상(+), 의도가 확실하지 않은 반복적 행동(자동증), 초점 없는 눈, 입맛을 다심,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 못함
- 발작 후 전형적으로 혼미한 상태, 완벽 회복까지 수 초에서 수 시간 걸림

증상 및 징후

1) 전조
-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느껴지는 저림이나 통증 등의 감각이상
- 가슴이 답답하거나 속에서 뭔가 치밀어 오르는 듯한 증상
- 공포감, 환청, 환시, 환각
- 처음 일어나는 일인데도 마치 과거에 경험했던 일인 것 같은 기시감
- 경험했는데도 갑자기 생소하게 느껴지는 미시감

2) 자동성 증상
- 불수의적인 복잡한 운동성 활동이 동반

3) 발작 후 혼미 및 두통

4) 간질 중첩증
- 긴장-간대성 경련 : 일정기간 동안 발작이 진행되고 자연적으로 완화되며 소실되나, 전신형 간질 발작이 반복적으로 계속하여 나타날 수 있음
- 개개의 발작 사이에 의식회복이 없고, 발열, 혼수, 순환허탈 등을 일으킴

5) 뇌전증 증후군
- 우세한 발작 양상이 존재
- 흔한 기저 질환을 나타내며 발작이 시작하는 연령, 발작유형, EEG 소견 등 충분한 증거가 있는 경우

진단

- 병력조사를 통해 발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먼저 결정
1) 뇌파검사
- 비정상적인 뇌파가 보일 때 뇌의 어느 부분에서 이상 뇌파가 보이는지 알 수 있음
- 비디오-뇌파 원격장치 : 24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뇌파를 기록
2) 뇌영상 검사
- MRI, 뇌혈류검사

치료 및 간호

1) 약물요법 향경련제
(1) 약물치료 시기
- 뇌파에서 뚜렷한 발작의 초점이 확인되었을 때
- 뇌에 구조적인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을 때
- 신경학적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있거나 뇌전증 발작의 가족력이 있을 때
- 과거력에 뇌감염이나 의식 소실을 동반한 외상이 있을 때
- 현재 활동성 뇌감염을 앓고 있을 때
- 첫 번째 발작이 경련 중첩증으로 나타날 때

(2) 항경련제 요법
- 초기치료의 1차 선택 약물
- 뇌세포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고 미약한 억제력을 강화시켜 발작의 발생을 저지함
- 한 가지 약물로 발작을 충분히 조절하지 못할 때는 새로운 항경련제로 교체하거나 추가로 약을 사용할 수 있음
- 약물 : phenytoin( 대발작시 사용, Vit D, 엽산 결핍), valporic acid, carbamazepine(자몽주스x), ethosuximide

(3) 약물치료의 중단
- 2년 이상 발작이 없으면 약물 중단을 고려해 볼 수 있음

2) 수술요법

3) 미주신경 자극법

4) 케톤생성 식이요법
- 금식으로 당이 고갈되어 생성된 케톤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경우 에너지 생산이 증가하여 뇌세포의 기능이 향상되고 항경련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음
- 고지방, 저탄수화물 및 저단백의 식사를 유지해야 함

5) 신체손상예방
- 손상을 예방해야 하며, 발작이 있는 동안 환자를 안전하게 눕히고 경련 양상을 확인함
- 경련상태를 억제하기 위해 환자를 누르거나 이동시키지 않음
- 억제대로 묶지 않고, 머리가 다치지 않도록 머리 밑에 수건이나 패드를 대어주어 부딪힐 만한 물건은 치우도록 함
- 기도유지와 적절한 호흡을 위해 옷은 느슨하게 풀어주고, 옆으로 눕혀 분비물이 기도로 흡인되지 않도록 하며 혀가 뒤로 넘어가 기도가 폐쇄되지 않도록 함
- 거즈로 충분히 감싼 설압자나 손수건을 말아 치아 사이에 끼우며, 이미 경련이 시작되어 입을 다문 상태에서는 억지로 입안에 어떤 물건을 넣어주지 않음

6) 발작 시 응급처치
- 복합 부분발작의 경우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후 주위에 날카롭거나 뜨거운 물체를 치워 다치지 않도록 하며, 환자가 움직이면 따라다니면서 조용히 말을 붙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