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상태사정
① 의식 수준과 지남력
의식수준(LOC Level of Consciousness)의 평가는 GCS, 안구운동이상, 동공이상, 각막반사, 자세이상, 호흡이상 등을 사정
명료 | 정상적인 의식상태 지남력 정상 시각, 청각등 자극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즉시 보임 |
기면 | 졸음이 오는 상태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리고 불안정함, 어눌한 움직임과 중얼거림 반응을 보기 위해서 자극의 강도를 증가시켜야 함 질문에 대한 혼돈이 있고 때로는 섬망, 불안을 나타냄 |
혼미 | 큰소리, 밝은 광선 같은 강력한 자극을 계속 주면 반응을 나타냄 간단한 질문에 한 두 마디 단어로 대답함 통각 자극에 대하여 찡그리거나 피하려는 행동 |
반혼수 | 자발적인 근육의 움직임은 거의 없음 고통스러운 자극 주었을 때 어느 정도 피하려는 반응을 보임 신음소리, 중얼거리기도 함 |
혼수 | 모든 자극에 대한 반응이 없음 각막반사, 구토반사, 빛에 대한 동공반사 없음 |
▶ GCS (Glasgow Coma Scale)
- 눈이 심하게 부어 잘 떠지지 않거나, 기관 삽관을 했거나 말을 할 수 없는 환자를 위하여 숫자 뒤에 ‘U’라고 기록
-> 언어반응을 할 수 없는 환자가 받을 수 있는 최고점수는 ‘11U’
- 최소 통증자극으로 시작 -> 점차 더 강한 통증자극 / 정상적인 목소리로 시작 -> 점차 큰 목소리로 사정
- 환자가 반응이 없으면 가볍게 흔들고 점차 세게 흔듦 그래도 반응이 없으면 상안와 압박, 승모근 꽉잡기, 하악골 압박, 흉골 문지르기 등의 통증 자극 방법 적용
▶ 안구운동이상
안구두부반사(OCR, 인형눈반사)
- 환자의 머리를 수동적으로 상하좌우로 움직였을 때 양안이 머리와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는 반사
- 양성 -> 대뇌병변, 소실 -> 뇌간손상
전정안구반사(VOR:시선안정화의 중요한 역할) - 온도안진검사
- 외이도에 냉수나 온수를 주입하여 반사적 안구운동을 관찰하는 검사 방법
- COWS(Cold Opposite Warm Same) : 우측 외이도에 냉수를 넣으면 안구는 우측으로 천천히 이동한 뒤 좌측방향으로 도망가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안구진탕을 일으키고 우측 외이도에 따뜻한 물을 흘려 넣으면 안구는 좌측으로 천천히 이동한 뒤 우측을 향해 이동하며 안구진탕을 일으킴
▶ 동공이상
모양체 척수반사
- dermatome C2 부위에 해당하는 목경부 피부를 꼬집어 통증자극을 가하면 같은 쪽 눈에 산동(동공확대)이 나타나는 반사
- 목에서 중뇌로 가는 자율신경로가 정상임을 의미
- 뇌교출혈->축동(동공축소), 중뇌장애->산동,대광반사소실
▶ 각막반사
- 각막을 면봉, 솜 등의 물체로 자극하면 양안이 감기는 반사반응 / 5번 뇌신경이 자극을 받아들여 7번 뇌신경을 통해 반사반응이 나타나는 것 / 뇌교 병변으로 인한 의식장애
▶ 자세이상
제뇌피질자세(피질박리성 경직)
- 피질척수로를 차단하는 병변이 있을 때
- 팔은 내전과 굴곡이 되고 손목과 손가락은 굴곡, 다리는 신전된 상태에서 족저굴곡
제뇌자세(제뇌경직)
- 뇌간의 기능부전과 관련
- 팔과 다리는 신전, 상지의 회내, 하지의 족저굴곡
② 기억력과 주의력
기억력 : 장기와 단기, 최근 또는 즉시 기억으로 나누어 검사
주의력 : 세 개의 일련번호를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하거나 연속으로 77 빼기 검사
③ 언어와 표현력
④ 인지기능과 판단력
(2) 뇌신경사정★
명칭 | 기능 | 검사기구 | 검사방법 |
1. 후각신경 | 후각 | 휘발성의 유지를 담은 4개의 병, 수지, 정향유, 바닐라 등 | - 눈을 감고 한쪽씩 코를 막고 냄새를 맡도록 하고 어떤 냄새인지 말하도록 한다. |
2. 시신경 | 시각 | 검안표, 시력표 | - 어두운 방에서 환자에게 똑바로 떨어진 물체를 보도록 지시하고 유두염, 시신경위축, 망막 및 혈관의 병변을 조사 - 시력검사, 시야검사를 한다. |
3. 동안신경 | 안구운동, 동공축소, 안검거상 | pen light | - 대광반사에 양측 눈이 반응하는지 본다. - 외안근의 협응 능력을 확인하고 눈을 깜빡거려 보게 하여 안검의 개폐를 사정 |
4. 활차신경 | 안구운동 | ||
6. 외전신경 | 안구측면운동 | ||
5. 삼차신경 | 얼굴감각, 구강, 혀, 치아감각, 저작기능 | 더운물이 담긴 시험관, 물이 담긴 시험관, 면봉, 핀 | - 눈을 감고 천이나 안전핀을 이용하여 촉각을 느끼게 하고 따뜻한 물로 온도감각을 사정한다. - 솜이나 면봉으로 각막의 모서리를 건드려 눈을 깜박거리는 각막반사 여부를 확인한다. - 깨물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한다. |
7. 안면신경 | 얼굴표정, 혀전방미각, 타액분비 | 짠맛, 단맛, 신맛의 각 용액을 담은 3개의 병 | - 얼굴을 찡그리거나 주름 짓기, 빰 부풀리기 등으로 얼굴이 대칭적으로 움직이는지, 안면근육의 수축 정도를 평가한다. - 혀 전면 2/3의 미각을 검사한다. |
8. 청신경 | 평형, 청각 | 음차, 시계 | - 청각검사, 음차를 이용하여 웨버검사, 린네검사를 실시하여 공기전도와 골전도를 확인한다. |
9. 설인신경 | 혀 후방감각, 인후감각, 연하작용 | 면봉 | - 혀 후방 1/3 미각을 확인하고 구역반사를 검사한다. |
10. 미주신경 | 인두, 후두, 외이감각, 연하작용, 흉곽, 내장기관 활동 | 설압자 | - 음성을 들어보고 연구개 움직임의 대칭여부를 확인한다. |
11. 부신경 | 목, 어깨운동 | 머리와 어깨를 움직여 보도록 함 | - 머리를 돌려보도록 하고 어깨를 저항없이 상승시켜 봄으로써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의 기능을 확인한다. |
12. 설하신경 | 혀의 근육 | 혀를 내밀어 보게 함 | - 말을 하게 하여 혀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 마비 시 병변 부위로 혀가 편위된다. |
(3) 운동신경 사정
근력은 5점 척도를 사용하여 기록
5점(정상) | 정상 운동 가능함 | 2점(불량) | 움직일 수 있으나 중력에 대항하지 못함 |
4점(양호) | 어느 정도의 저항과 중력에 대항하여 운동함 | 1점(흔적) | 최소한의 근수축이 있음 |
3점(약간양호) | 겨우 중력에 대항하여 운동함 | 0점 | 전혀 움직임 없음 |
(4) 반사 사정
▶ 심부건반사
- 이두근건 반사, 삼두근건 반사, 상완요골근건 반사, 슬개건 반사, 아킬레스건 반사
- 4점척도, 2+가 정상반응, 0는 무반사, 4+ 반사항진
- 반사 항진 : 상부 운동신경원 손상, 뇌손상
- 반사 감소 : 하부 운동신경원 손상, 척수손상
▶ 표재성반사
- 복부반사, 거고근반사, 항문반사, 각막반사, 구역반사
- 반사 있음(+), 반사 없음(-)으로 기록
- 병리적 반사 : 바빈스킨 반사 -> 영아기에는 정상, 성인에서는 추체로의 병변 때문
(5) 감각신경 사정
- 통각, 온각 : 통각이 정상이면 온각은 생략 (같은 신경 통로 전달), 날카로운 안전핀이나 도구 사용
- 가벼운 촉각 검사 : 면 or 솜 조각으로 대상자의 피부를 가볍게 스쳐 사정
- 진동 감각 : 진동시킨 음차를 사용해 검진
- 위치 감각 : 눈을 감기고 대상자의 엄지발가락을 위아래로 움직여서 방향을 말하도록 함
- 식별검사 : 숫자 식별검사, 입체감각 검사, 2지점 식별
(6) 소뇌기능사정
▶ 겨냥불능
- 손가락 코 검사 : 눈을 뜨고 식지로 검진자의 손가락을 두드린 다음 자신의 코를 두드리도록 하여 실시, 검진자의 손의 위치를 다르게 하고 매번 다른 거리에 적응하는지 확인
▶ 길항운동반복부전
- 빠른 교대운동 : 대상자에게 양쪽 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두드리며 다시 뒤집어 손등으로 무릎을 두드리도록 함
- 발뒤끔치정강이 검사 : 누운 상태에서 발뒤꿈치를 반대편 무릎에서 정강이를 따라 발목까지 움직이도록 하는 과정
정상인 경우 정강이를 따라 똑바로 움직일 수 있음
▶ 운동실조
- 텐덤보행검사 : 발꿈치와 다른 발의 엄지발가락을 붙이면서 똑바로 걷도록 함
정상-> 보행가능, 다발성경화증 -> 보행불가능
- 롬베르그검사 : 차렷자세로 서게 한 후 두 눈을 감고 자세를 유지하는 것
정상 -> 자세 유지 가능, 눈을 감았을 때 균형 상실 -> 알코올 중독, 다발성 경화증
'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식장애 (무의식 환자) 간호 (0) | 2023.02.12 |
---|---|
뇌압상승 (ICP 상승) 간호 (0) | 2023.02.11 |
신경계 건강사정 : 현재력 (0) | 2023.02.08 |
천식의 병태생리와 간호중재 (0) | 2023.02.07 |
천식 및 천식발작 대상자의 응급관리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