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N

역학의 이해

by Hlog 2023. 3. 24.
728x90
반응형

1. 역학의 정의

- 질병발생 : 급성->만성퇴행성 / 다요인설 / 질병예방 -> 건강증진 중심

- 역학 :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생리적 상태 및 이상 상태에 대한 빈도와 분포를 기술하고, 이러한 빈도와 분포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원인적 연관성 여부를 근거로 밝혀냄으로써 효율적 예방법을 개발하는 학문이다.

 

역학의 대상은 개인이 아닌 인구집단이다.

질병뿐만 아니라 건강의 모든 스펙트럼을 포함한다. (생리적 상태와 이상 상태를 모두 포함)

질병의 빈도와 분포를 기술한다는 것은 인구집단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상태와 이상 상태의 빈도와 분포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의미. 사건 분포 양상을 기술할 때는 인구학적 특성, 지역적 특성, 시간적 특성 등 여러 가지 변수가 고려됨

빈도와 분포를 결정하는 요인과 결과의 관계를 원인적 연관성에 근거하여 밝혀내는 다양한 역학적 연구방법론을 개발

개발된 인과성 연관성 혹은 위험요인을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및 관리에 이용한다.

★★ 역학은 사람과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질병감시와 기술 연구, 분석 연구, 실험 연구 등을 포함하는 건강과 질병에 관한 과학 연구의 전 영역을 포괄한다고 할 수 있다.

 

2. 역학의 목적과 활용

- 역학은 특정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건강과 관련된 상태나 사건의 크기를 파악하고 그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질병과의 인과성을 평가

- 인구집단의 건강 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질병 예방활동에 적용

 

1) 기술적 역할

(1) 질병의 자연사에 대한 기술

: 잘 설계된 추적연구나 질병의 임상적 특성, 임상경과 등은 자연사에 관한 통계, 발생 가능한 질병의 예방, 질병의 진단 및 예후를 추정하는 데 유용

(2) 건강 수준과 질병양상에 대한 기술

: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여러 가지 보건지표(발생률, 유병률, 사망률 등)의 기술뿐 아니라 이들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기술함으로써 질병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가설설정의 실마리를 제공

: 다양하고 정확한 보건지표는 해당 지역사회의 건강 수준과 보건문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보건사업계획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

(3) 인구동태에 관한 기술

: 출생 및 사망과 같은 주어진 인구집단의 인구동태자료는 건강 수준 측정에 주요한 보건지표가 됨

 

2) 질병발생의 원인 규명

: 역학 연구의 근본 목적이며 가장 중요한 역할인 질병발생의 원인 규명과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그 질병으로 인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3) 연구전략의 개발

: 대표적인 연구방법으로 단면조사 연구, 환자(사례)-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 등

 

4) 질병 및 유행 발생의 감시

: 감시란 공중보건을 계획, 수행, 평가하는 데 중요한 건강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해석하고 이러한 자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적절히 보급하는 일련의 과정

 

5)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

 

반응형

3. 역학의 역사적 배경

1) 초기 역학 연구

[고대 및 중세 암흑기] 질병을 천벌 혹은 천형으로 생각 운명론적으로 받아들임

[히포크라테스] 계절과 지리적인 위치, 공기, 물 등의 환경이 인간의 질병발생에 관여

[18세기 중반까지] - 독기설(나쁜공기 흡입하면 질병)

[18세기 중반이후] 감염체설지지 -> 역학적 연구방법과 점목 : 근대 역학시대

[1700년대 초] 린드는 괴혈병의 원인과 치료방법을 찾는데 비교개념을 처음으로 적용

 

2) 근세의 감염병 유행과 역학적 방법의 성립

[1855 스노우] 런던에 유행한 콜레라의 원인을 규명 -> 역학이 과학이라는 학문체계를 갖추고 출발한 계기

 

3) 현대 역학 연구방법의 수립과 영역 확장

[20세기 초 루이즈 마스] 간호사로서 감염성 질환의 원인 연구에 기여, 모기가 질병의 보균자가 된다는 사실 증명

[1950 돌과 힐] 흡연과 폐암의 연관성에 대한 첫 환자-대조군 연구 결과 발표

[1948 프레이밍햄] 심장병 역학 연구인 프레이밍햄 심장 연구 수행

[1980년대 WHO] 모니카 연구가 시작, 세계 여로 곳에서 다양한 질병에 대규모 역학적 연구 이루어짐

 

4. 질병발생 모형과 원인적인 연관성

1) 질병발생의 다요인설

- 질병발생의 다요인설 : 여러 원인 혹은 여러 요인들의 작용으로 질병이 생긴다는 개념

(1) 병인(agent)

- 질병발생에 없어서는 안되는 요소를 그 질병의 병원체 또는 병인이라고 함

- 클라크(Clark) 병인 : 물리적 요인(전리방사선, 화학물질, 냉과열 등), 화학적 요인(오염원, 약물), 영양요인(과잉 또는 결핍)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사회적 격리, 사회적지지 등), 생물학적 요인(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2) 숙주(host)

- 개인의 병인에 대한 감수성과 면역기전에 좌우, 내적요인과 외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

- 숙주의 저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전적 소인, 생물학적 요인(, 연령 등), 체질적 요인(과거 노출경험, 영양상태, 성 격 등), 사회적 요인(사회경제적 상태와 결혼 및 관계형태, 직업 등)

(3) 환경(environment)

- 숙주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

- 생물학적 환경(동식물, 미생물, 감염성질환의 매개체, 감염원 등), 사회적 환경(문화적, 기술적, 교육적, 정치적, 인구학적, 사회학적, 경제학적, 법적 특성), 물리적 환경(고열과 한랭 및 공기, 기압, 주택 시설, 음료수, 소음, 지리적 조건 등)

 

2) 질병발생의 모형

(1) 생태학적 모형

- 개인 혹은 지역사회의 건강상태는 병원체, 숙주, 환경요인들의 평형상태

- 세요인 중 어느 하나에 변화가 오면 다른 요인에도 영향을 미쳐 균형이 깨지고 질병 발생이 용이해짐

 

(2) 수레바퀴 모형

- 병인은 환경의 일부로 간주되므로 크게 숙주와 환경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형

- 질병의 종류에 따라 각 바퀴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기여도 크기에 의해 면적의 크기가 달라짐

-> 유전성 질환에서는 유전적 소인 부분이 비교적 크며, 감염성 질환에서는 숙주의 면역상태와 생물학적 환경이 크게 관여

 

 

(3) 거미줄 모형(맥마흔 MacMahon)

- 질병발생에 관여하는 여러 직간접적인 요인들이 거미줄처럼 서로 얽혀 복잡한 경로에 있다는 모형

- 병인과 숙주, 환경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질병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파악

- 많은 원인요소 중 질병 발생 경로상의 몇 개의 요인을 제거하면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보여줌

 

3) 원인적 연관성

- 원인 : 독립된 단일 개념이기보다는 결과라는 개념과 짝지어서 정의, 두 사상간에는 시간적인 전후 관계를 갖는다.

- 통계적 연관성 : 우연히 발생과 실재하는 인과관계를 구별하려면 확률에 근거를 두어 여러 번 반복된 관찰에서 동일한 관계가 성립되어야 하며, 이들 중 일부만이 원인적 연관성을 가질 수 있음

[역학적 인과관계 추론과정]
통계적 연관성 -> 바이러스 유무 평가, 교란변수 통제 여부 평가 -> 인과관계의 조건 충족 여부 검토

-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과 질병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판단하는 것은 역학의 중요한 목적

- 19세기 코흐의 가설 : 탄저병과 결핵의 병인론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특정 균과 감염성 질환 사이의 인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주장

 

* 원인적 연관성과 비원인적 연관성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건

(1) 시간적 선후관계(시간적 속발성)

: 원인이라고 고려되는 사상이 결과라고 고려되는 사상보다 선행되어야 함

(2) 통계적 연관성의 강도

: 통계적 연관성의 강도가 클수록 인과관계의 가능성이 높음

: 두 요인 사이에 우연히 일어날 수 있는 확률(p-value)이 적을수록 통계적으로 연관성의 강도는 강함

(3) 기존 지식과의 일치성

: 이미 확인된 지식이나 소견과 일치할 경우 원인적 연관성의 강도는 커짐

(4) 생물학적 발생 빈도

: 질병의 발생률은 요인에 대한 폭로의 양이나 기간에 따라 상관성이 있어야 함

(5) 특이성

: 어떤 요인이 특정 질병에는 관련을 보이나 다른 질병에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을 경우 인과성이 가능성이 높아짐

: 반면 다른 질병과의 관련성을 보인다면 인과관계의 가능성은 낮아짐

(6) 생물학적 설명 가능성

: 역학적으로 관찰된 두 변수 사이의 연관성을 분자생물학적인 기전으로 설명 가능하다면 인과관계의 가능성이 높음

(7) 일관성

: 폭로요인과 질병의 관계가 반복하여 같은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

(8) 실험적 증거

: 실험을 통해 요인에 노출될 때 질병발생이 확인되거나 요인 제거로 질병발생이 감소한다면 원인일 가능성 높음

728x90
반응형

'C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적 측정 지표  (0) 2023.03.26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수준  (0) 2023.03.25
작업환경 관리  (0) 2023.03.23
산업재해 예방  (0) 2023.03.21
환경과 건강의 이해  (0) 2023.03.19